오늘의 계획
2. 프로그래머스 코딩 테스트
문제4.
정수 배열 arr와 2차원 정수 배열 queries이 주어집니다. queries의 원소는 각각 하나의 query를 나타내며, [i, j] 꼴입니다.
각 query마다 순서대로 arr[i]의 값과 arr[j]의 값을 서로 바꿉니다.
위 규칙에 따라 queries를 처리한 이후의 arr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.
제한사항:
- 1 ≤ arr의 길이 ≤ 1,000
- 0 ≤ arr의 원소 ≤ 1,000,000
- 1 ≤ queries의 길이 ≤ 1,000
- 0 ≤ i < j < arr의 길이
입출력 예
arr | queries | result |
[0, 1, 2, 3, 4] | [[0, 3], [1, 2], [1, 4]] | [3, 4, 1, 0, 2] |
- 입출력 예 #1: 각 쿼리에 따라 arr가 다음과 같이 변합니다
따라서 [3, 4, 1, 0, 2]를 return 합니다.
arr |
[0, 1, 2, 3, 4] |
[3, 1, 2, 0, 4] |
[3, 2, 1, 0, 4] |
[3, 4, 1, 0, 2] |
class Solution {
public int[] solution(int[] arr, int[][] queries) {
int[] answer = {};
return answer;
}
}
풀이과정
: 얘는 문제도 뭔소린지 모르겠고 감도 안와서 끙끙대다가 결국 구글의 도움을 받음
https://sigfriede.tistory.com/218
정답
import java.util.Arrays;
class Solution {
public int[] solution(int[] arr, int[][] queries) {
int[] answer = new int[arr.length];
answer = new int[arr.length];
for (int i = 0; i < queries.length; i++) {
int k = arr[queries[i][1]];
arr[queries[i][1]] = arr [queries[i][0]];
arr [queries[i][0]] = k;
}
answer = Arrays.copyOf(arr, arr.length);
return answer;
}
}
그와중에 import 자꾸 수기로 안하면 틀리는거 짜증남ㅋㅋㅋㅋ
++ 다른사람의 풀이
class Solution {
public int[] solution(int[] arr, int[][] queries) {
int[] answer = {};
for(int i = 0; i < queries.length; i ++){
int one = arr[queries[i][0]];
int two = arr[queries[i][1]];
//System.out.println("One: " + one + ", Two: " + two);
arr[queries[i][0]] = two;
arr[queries[i][1]] = one;
}
return arr;
}
}
위에거를 초보자인 내가 더 알아보기 쉬운 느낌인 코드
문제5.
정수 배열 arr와 2차원 정수 배열 queries이 주어집니다. queries의 원소는 각각 하나의 query를 나타내며, [s, e, k] 꼴입니다.
각 query마다 순서대로 s ≤ i ≤ e인 모든 i에 대해 k보다 크면서 가장 작은 arr[i]를 찾습니다.
각 쿼리의 순서에 맞게 답을 저장한 배열을 반환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.
단, 특정 쿼리의 답이 존재하지 않으면 -1을 저장합니다.
제한사항:
- 1 ≤ arr의 길이 ≤ 1,000
- 0 ≤ arr의 원소 ≤ 1,000,000
- 1 ≤ queries의 길이 ≤ 1,000
- 0 ≤ s < e < arr의 길이
- 0 ≤ k ≤ 1,000,000
입출력 예
arr | queries | result |
[0, 1, 2, 4, 3] | [[0, 4, 2], [0, 3, 2], [0, 2, 2]] | [3, 4, -1] |
- 입출력 예 #1
- 첫 번째 쿼리의 범위에는 0, 1, 2, 4, 3이 있으며 이 중 2보다 크면서 가장 작은 값은 3입니다.
- 두 번째 쿼리의 범위에는 0, 1, 2, 4가 있으며 이 중 2보다 크면서 가장 작은 값은 4입니다.
- 세 번째 쿼리의 범위에는 0, 1, 2가 있으며 여기에는 2보다 큰 값이 없습니다.
- 따라서 [3, 4, -1]을 return 합니다.
class Solution {
public int[] solution(int[] arr, int[][] queries) {
int[] answer = {};
return answer;
}
}
풀이과정
: 일단 시작은 위의 문제와 비슷해보이고...
class Solution {
public int[] solution(int[] arr, int[][] queries) {
int[] answer = new int[queries.length];
for (int i = 0; i < queries.length; i++) {
}
return answer;
s와 i와 e에 대한 식도 써야할것같았다. 어떻게 쓰나...찾아봤더니 for문안에 for문을 또 넣어서 해결하더라
더해서 MAX_VALUE를 쓰신 분을 보고 좋은데? 하고 참고하였다
정답
class Solution {
public int[] solution(int[] arr, int[][] queries) {
int[] answer = new int[queries.length];
for (int i = 0; i < queries.length; i++) {
int s = queries[i][0];
int e = queries[i][1];
int k = queries[i][2];
int min = Integer.MAX_VALUE;
for (int j = s; j <= e; j++) {
if (arr[j] < min && k < arr[j]) {
min = arr[j];
}
}
if (min != Integer.MAX_VALUE) {
answer[i] = min;
} else {
answer[i] = -1;
}
}
return answer;
}
}
++ 다른사람의 풀이
3. 이력서/지원/면접 준비 활동
'일지 > 취준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4_12_12 취준일기 16일차 (0) | 2024.12.12 |
---|---|
2024_12_11 취준일기 15일차 (0) | 2024.12.11 |
2024_12_05 취준일기 13일차 (0) | 2024.12.05 |
2024_12_04 취준일기 12일차 (0) | 2024.12.05 |
2024_12_03 취준일기 11일차 (0) | 2024.12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