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주 나온다고 느끼는 개념들
정렬(Sort)
- 삽입 정렬(Insertion Sort)
- 가장 간단한 정렬 방식
- 이미 순서화된 파일에 새로운 하나의 레코드를 순서에 맞게 삽입시켜 정렬함
- 쉘 정렬(Shell Sort)
- 삽입 정렬을 확장한 개념
- 입력 파일을 어떤 매개변수(h)의 값으로 서브파일을 구성하고, 각 서브파일을 삽입 정렬 방식으로 순서 배열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정렬 방식
- 선택 정렬(Selection Sort)
- n개의 레코드 중에서 최소값을 찾아 첫 번째 레코드 위치에 놓고, 나머지 (n-1)개 중에서 다시 최소값을 찾아 두 번째 레코드 위치에 놓는 방식을 반복하여 정렬하는 방식
- 버블 정렬(Bubble Sort)
- 레코드의 많은 자료 이동을 없애고 하나의 파일을 부분적으로 나누어 가면서 정렬하는 방법
- 키를 기준으로 작은 값은 왼쪽에, 큰 값은 오른쪽 서브파일로 분해시키는 방식으로 정렬함
- 퀵 정렬(Quick Sort)
- 레코드의 많은 자료 이동을 없애고 하나의 파일을 부분적으로 나누어 가면서 정렬하는 방법
- 키를 기준으로 작은 값은 왼쪽에, 큰 값은 오른쪽 서브파일로 분해시키는 방식으로 정렬
- 힙 정렬(Heap Sort)
- 전이된 트리(Complete Binary Tree)를 이용한 정렬 방식
- 2-Way 합병 정렬(Merge Sort)
- 이미 정렬되어 있는 두 개의 파일을 한 개의 파일로 합병하는 정렬 방식
- 기수 정렬(Radix Sort, Bucket Sort)
- Queue를 이용하여 자릿수(Digit)별로 정렬하는 방식
- 레코드의 키 값을 분석하여 같은 수 또는 같은 문자끼리 그 순서에 맞는 버킷에 분배하였다가 버킷의 순서대로 레코드를 꺼내어 정렬함
디지털 저작권 관리(DRM)
- 암호화(Encryption): 콘텐츠 및 라이선스를 암호화하고 전자 서명을 할 수 있는 기술
- 관리(Key Management): 콘텐츠를 암호화한 키에 대한 저장 및 분배 기술
- 암호화 파일 생성(Packager): 콘텐츠를 암호화된 콘텐츠로 생성하기 위한 기술
- 식별 기술(Identification): 콘텐츠에 대한 식별 체계 표현 기술
- 저작권 표현(Right Expression): 라이선스의 내용 표현 기술
- 정책 관리(Policy Management): 라이선스 발급 및 사용에 대한 정책 표현 및 관리 기술
- 크랙 방지(Tamper Resistance): 크랙에 의한 콘텐츠 사용 방지 기술
- 인증(Authentication): 라이선스 발급 및 사용의 기주이 되는 사용자 인증 기술
응집도 순서(강->약)
: 기능적 -> 순차적 -> 교환(통신)적 -> 절차적 -> 시간적 -> 논리적 -> 우연적
'일지 > 취준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_01_24 취준일기 23일차 (0) | 2025.01.24 |
---|---|
2025_01_23 취준일기 22일차 (0) | 2025.01.23 |
2025_01_20 취준일기 21일차 (0) | 2025.01.20 |
2025_01_15 취준일기 20일차 (0) | 2025.01.15 |
2025_01_14 취준일기 19일차 (0) | 2025.01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