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일지/취준일기

2025_03_21 취준일기 41일차

by 알케니브 2025. 3. 21.

오늘 들은 강의

4. 네트워크

4-1. 네트워크 기본

1. 네트워크 토폴리지

  • 계층형
  • 버스형
  • 성형
  • 링형
  • 망형

2. 데이터 전송

  • 아날로그 / 디지털
  • 단방향 통신, 반이중 통신, 전이중 통신
  • 직렬 전송 / 병렬 전송
  • 동기식 전송 / 비동기식 전송방식

3. 교환 회선⭐⭐⭐

  • 교환 방식
    • 회선 교환
    • 축적 후 교환
      • 패킷 교환
        • 데이터그램 방식⭐⭐⭐
        • 가상 회선 방식⭐⭐⭐
      • 메시지 교환

4. 다중화: 하나의 통신 회선에 여러 터미널이 공유

  • 다중화기 종류
    • 주파수 분할 다중화기
    • 시분할 다중화기
      • 동기식
      • 비동기식
    • 코드 분할 다중화기
    • 파장 분할 다중화기
    • 공간 분할 다중화기
  • 역다중화기
  • 집중화기

4-2. 근거리 통신망

1. LAN: 가까운 거리에 한정된 네트워크

  • LAN의 프로토콜
    • LLC
    • MAC

2. 802.X 시리즈

  • 802.1: LAN 전체 구성
  • 802.2: LLC
  • 802.3: CSMA / CD
  • 802.4: 토큰 버스
  • 802.5: 토큰 링
  • 802.11: 무선 LAN
  • 802.15: 블루투스

3. HDLC: 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하는 비트 지향

  • 구조
    • 플래그
    • 주소 필드
    • 제어 필드: 정보, 감독, 비순서
    • 데이터
    • FCS
  • 유형
    • 정보 프레임: 데이터 전송
    • 감독 프레임: 오류/ 흐름 제어
    • 비순서 프레임: 추가적인 제어목적
  • HDLC 전송 모드⭐⭐⭐
    • 정규 응답 모드(NRM): 하나의 주국/ 하나 이상의 종국, 중앙 집중식 네트워크
    • 비동기 균형 모드(ABM): 모든 단말이 주국 기능 수행, 전이중 통신 지원
    • 비동기 응답 모드(ARB): 주국이 통신 제어, 종국도 자체 데이터 전송, 비대칭 네트워크

4-3. 인터넷

1. 인터넷 서비스

  • WWW, 전자우편, 텔넷, HTTP, FTP, 클라우드, 동영상 스트리밍, SNS, 메신저, 온라인 쇼핑, loT 서비스

2. URL 구조

  • Scheme: 통신 방식
  • Domain: 도메인명
  • Port: 프로세스 번호
  • Path: 리소스 위치
  • Query String: 전달 데이터
  • Fragment: 앵커
  • Authority: 사용자 정보

3. IP: 고유한 식별번호

  • IPv4: 유니 캐스트, 멀티 캐스트, 브로드 캐스트
  • IPv6: 유니 캐스트, 멀티 캐스트, 애니캐스트
  • 클래스 구분: A(0), B(10), C(110)
  • 전환 기술: 듀얼 스택, 터널링, 주소 변환

4. 서브넷: 큰 네트워크를 작게 분할한 구조

 

5. IP 기타 기술⭐⭐⭐

  • NAT: 사설 IP와 공인 IP 주소 간의 변환
  • DNS: 도메인 이름과 IP 주소간의 변환
  • QoS: 트래픽의 성능과 속도를 보장하는 기술
  • VPN: 가상 사설망 
  • DHCP: IP 주소 자동 할당

4-4. 프로토콜

1. 프로토콜: 표준화된 통신 규약

  • 기본 요소
    • 구문
    • 의미
    • 타이밍
  • 기능: 단편화와 재결합, 캡슐화, 흐름 제어, 오류 제어, 혼잡 제어, 동기화, 순서 제어, 주소 지정, 다중화, 경로 제어

2. 흐름 제어

  • Stop and Wait 방식
  • Sliding Window 방식
  • 피기배깅: 양방향 통신에서 정보와 응답을 동시에 전송

3. 오류 제어

  • Stop and Wait ARQ
  • Go Back N ARQ
  • Selective Repeat ARQ
  • Adaptive ARQ

4. 전송 오류 제어 방식⭐⭐⭐

  • 전진 오류 수정(FEC): 스스로 오류 검출하고 수정
    • 해밍 코드
    • 상승 코드
  • 후진 오류 수정(BEC): 오류 발견 후 재전송 요청
    • 패리티 검사
    • CRC
    • 블록 합

5. 라우팅 프로토콜

  • 라우터: 경로 설정과 스위칭 담당
  • 라우팅 프로토콜
    • RIP: 거리 벡터 알고리즘 기반의 라우팅 프로토콜⭐⭐⭐
    • OSFP: 링크 상태 기바느이 라우팅 프로토콜⭐⭐⭐

4-5. OSI 7계층 ⭐⭐⭐

1. OSI 7계층

  1. 응용 계층
    • 응용 프로그램 간 통신 관리
    • 사용자 접근 프로그램
  2. 표현 계층
    • 데이터 암호화, 압축, 변환
  3. 세션 계층
    • 세션 생성, 관리, 종료 등 세션 연결
    • 통신 연결 상태 유지
  4. 전송(트랜스포트) 계층
    • 양 끝단 프로세스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, 오류 검출, 흐름 제어
    • 통신 단위: 세그먼트
  5. 네트워크 계층
    •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라우팅하고 전송 경로를 설정(비신뢰성, 비연결성)
    • 통신 단위: 패킷
    • 장비: 라우터, L3 스위치
  6. 데이터 계층
    • 인접한 노드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
    • 통신 단위: 프레임
    • 장비: 스위치, 브리지
  7. 물리 계층
    • 비트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
    • 통신 단위: 비트
    • 장비: 통신 케이블, 랜카드, 리피터, 허브

2. 백본: 대규모 패킷 통신망

  • 스위치 종류
    • L2: 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, MAC 주소를 기반으로 스위칭 수행
    • L3: 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, IP 주소를 기반으로 라우팅 수행
    • L4: 전송 계층에서 동작, 로드 밸런싱 수행
    • L7: 응용 계층에서 동작, 보안 장비 역할 수행

4-6. TCP / IP

1. TCP / IP: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

  • 응용 계층: HTTP, FTP(21), smtp(25), telnet(23), DNS(53), SNMP(161,162), DHCP(67)
  • 전송 계층: TCP, UDP
  • 인터넷 계층: IP, ICMP, IGMP, ARP, RARP
  • 네트워크 엑세스 계층: Ethernet, X.25, RS-232C

 

 

7. 프로그래밍 언어

15.변수의 유효범위 01~16

16.static 변수와 메서드 01~13

'일지 > 취준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025_03_25 취준일기 43일차  (1) 2025.03.25
2025_03_24 취준일기 42일차  (0) 2025.03.24
2025_03_20 취준일기 40일차  (0) 2025.03.20
2025_03_19 취준일기 39일차  (0) 2025.03.19
2025_03_18 취준일기 38일차  (0) 2025.03.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