받은 점수: 95점
나의 소감: 티스토리에 그날 그날 코딩한 순서를 적어둔 거랑, 모르는 용어 등등 정리한게 매우 많은 도움이 되었음
[문항1] (여기서 -5점)
내가 쓴 답안 >> li, ol, ul
선생님의 풀이 >>
답: ol
풀이: 순서가 없는 리스트는 ul (unordered list).
순서가 있는 리스트는 ol (ordered list).
앞에 붙는 글머리로 a(소문자 알파벳), A(대문자 알파벳), I(대문자 로마자), i(소문자 로마자), 1(숫자)를 고를 수 있다
[문항2]
내가 쓴 답안 >> .spotlight
선생님의 풀이 >> 맨 위의 JQuery 코드는 span 이라는 id를 가진 요소에 spotlight 라는 클래스 명을 추가하는 코드이다.
즉, 해당 요소가 <span>일 수도 있고 다른 태그를 가질 수도 있지만, spotlight 라는 클래스는 무조건 갖게 되므로
.spotlight { } 의 방식으로 스타일을 지정할 수 있다.
[문항3]
내가 쓴 답안 >> confirm
선생님의 풀이 >>
confirm("표기할 문장") 메소드는 파라미터로 받은 값을 표시하는 확인/취소 창을 발생시킨다.
해당 창에서 확인 버튼을 누를 경우 true를 반환하고, 취소 버튼을 누를 경우 false를 반환한다.
[문항4]
내가 쓴 답안>> 10px: 위, 20px: 오른쪽, 30px:아래, 40px:왼쪽
선생님의 풀이 >> CSS 상에서의 margin 속성은 순서대로 상, 우, 하, 좌 의 마진을 표기하는 방식을 이용한다.
간략하게 2개의 값이나 1개의 값 만을 넣을 수도 있는데, 해당 방식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인다.
- 2개의 값만 있을 경우 : 위 및 아래의 바깥 여백 값, 왼쪽 및 오른쪽의 바깥 여백 값
- 1개의 값만 있을 경우 : 위, 아래, 오른쪽, 왼쪽 의 바깥 여백 값
[문항5]
내가 쓴 답안>> isNaN
선생님의 풀이 >> isNaN() 메소드는 파라미터로 받은 값이 숫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, 숫자로 판단할 수 없는 경우(NaN 인 경우) true를 반환하고, 숫자로 판단할 경우 false를 반환한다.
(예 : isNaN("안녕하세요") -> true, isNaN(3) -> false)
[문항6]
내가 쓴 답안>>
(가) Browser 화면과 Box 사이의 간격: margin
(나) Box 선 두께: border
(다) Box 선과 글씨 사이의 간격: padding
(라)글씨 :content
선생님의 풀이 >> Box 를 기준으로...
(가)는 Box의 바깥 여백을 나타내므로 margin,
(나)는 Box의 경계를 나타내므로 border,
(다)는 Box의 안쪽 여백을 나타내므로 padding,
(라)는 Box 내부의 내용을 나타내므로 content
[문항7]
내가 쓴 답안>> 's Gen
선생님의 풀이 >> substring(x, y) 메소드의 경우 인덱스 x부터 y 직전까지의 문자열을 추출하는 메소드이다.
즉, 3번 인덱스(4번째 글자)부터 9번 인덱스 직전(8번 인덱스 까지, 9번째 글자)까지의 문자열을 추출하므로
정답은 "'s Gen" 이 된다.
[문항8]
내가 쓴 답안>>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title>문제 8번</title>
<script type="text/javascript">
function chk() {
if (frm.id.value.length==0){
alert("ID를 입력해 주세요");
frm.id.focus();
return;
}
}
</script>
</head>
<body>
<form action="" name="frm">
이름 : <input type="text" name="id"><p>
<input type="button" value="확인" onclick="chk()">
</form>
</body>
</html>
선생님의 풀이 >> form 태그에 name 애트리뷰트가 존재할 경우,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해당 애트리뷰트의 값으로 form에 접근할 수 있다.
내부의 태그들 또한 마찬가지로 name 애트리뷰트의 값을 직접적으로 사용하여 접근할 수 있다.
즉, frm.id 는 <input type="text" name="id"> 를 나타내고, 해당 컨트롤의 값은 value로 접근할 수 있다.
그렇다는 것은, frhttp://m.id.value == "" 의 조건식이 나타내는 것은 <input type="text" name="id">에 입력된 값이 빈 값(Empty, "")일 경우 true를 반환하는 것이다.
즉, id가 누락될 경우 "ID를 입력해주세요" 라는 문장이 삽입된 경고창이 발생된다.
'J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4_08_21_수_JSP 시험(클라우드 개발환경 이해 및 구축) (0) | 2024.08.21 |
---|